1002] DCEU의 화려한 부활을 바랐지만 배우가 촛불을 켠 <플래시>

플래시 감독 안드레스 무시에티 출연 에즈라 밀러, 마이클 키튼, 사샤 카에, 마이클 섀넌, 벤 애플렉 개봉 2023.06.14.하면 죽을 쑤어 있는 DCEU입니다.제임스·암 감독이 다음에 진행되면서 또 재부팅을 하겠다고 선언하고 이 작품이 사실상 DCEU의 마지막 작품이었습니다.그럼 굳이 이 작품을 볼 필요가 있는가?!그렇다면 이 작품이 하는 것이 바로<스파이더 맨:노 웨이 홈>(이하<노 웨이 홈>)에서 보인 것과 유사한 시도를 합니다.MCU가 본격적으로 멀티 버스를 시험하게 해준 작품이 “노 웨이 홈”인 것처럼 DCEU에서도 같은 시도로 리부팅을 실시합니다.그 초석을 다지고 작품이 『 플래시 』입니다.그러나 그 초석을 아즈라·밀러가 다양한 사고를 일으킨다, 그것마저도 쉽지 않게 해놓았습니다.최소 플래시라는 인물을 바꿀 수밖에 없는 상황을 만듭니다.다행히 이 작품이 멀티 버스의 문을 열 작품이기도 합니다, 바꿔도 상관 없다는 것입니다.다만 이런 경험을 이미<노 웨이 홈>에서 경험한 탓인지,<플래시>에서도 비슷한 장면이 나오면 경외감을 느낀다기보다… 그렇긴”보통이다!?”겠다는 생각이 든다는 점입니다.어차피 서로가 서로를 베끼면서 발전한 DC와 MARVEL때문에, 아무래도 누가 먼저라고 하기엔 애매하지만… 그렇긴적어도 영화판에서는 DCEU가 MCU을 베낀 같은 꼴이 되는 것이 안타까운 곳이네요.스토리는 괜찮습니다.그것에 얘기도 나름대로 꽤 잘 만들었습니다.평소 이렇게 만들어 주면 리부트까지는 하지 않았을 거 아닐까 싶을 정도입니다.다만 이 작품…이래봬도 어차피 재부팅하니까!아니면 아즈라 미러의 탓인지 모르지만···CG가 심각한 정도로 조잡합니다.얼마나 되는가 하면 몰입감을 부수는 정도입니다.특히 플래시의 특성상 슬로 모션이 많을 수밖에 없지만 그 사이에 너무 상세히 표시하는 장면임에도 불구하고 눈을 뜨고 볼 수가 없는 CG입니다.특히 아기들을 구하는 장면은 역대급입니다.어쨌든 양쪽 유니버스에서 멀티버스가 열리면서 마블과 DC 모두 이제 팬층이 아니면 볼 수 없는 시대가 된 것 같습니다. 이미 예견된 일이고 마블은 이미 디즈니+를 통해 드라마까지 전개해 더욱 입문을 어렵게 만들고 있습니다.앞으로 히어로물이 어떻게 진행될지 그 장르의 영화를 좋아하는 팬으로서 걱정이 됩니다. 어쨌든 슈퍼걸은 너무 매력적이었는데 어쨌든 슈퍼걸은 리부트를 하더라도 배우를 그대로 썼으면 좋겠어요.어쨌든 양쪽 유니버스에서 멀티버스가 열리면서 마블과 DC 모두 이제 팬층이 아니면 볼 수 없는 시대가 된 것 같습니다. 이미 예견된 일이고 마블은 이미 디즈니+를 통해 드라마까지 전개해 더욱 입문을 어렵게 만들고 있습니다.앞으로 히어로물이 어떻게 진행될지 그 장르의 영화를 좋아하는 팬으로서 걱정이 됩니다. 어쨌든 슈퍼걸은 너무 매력적이었는데 어쨌든 슈퍼걸은 리부트를 하더라도 배우를 그대로 썼으면 좋겠어요.

error: Content is protected !!